구매 전 확인 필수

노트북 힌지 중요성, 힌지 고장원인

KimLab2023 2025. 3. 29. 15:19
728x90
반응형

 

노트북에서 생각보다 약한 부분이 바로

 

"힌지"입니다.

 

처음에는 잘 모르지만, 쓸면 쓸수록 나중에 문제가 발생해서 고장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조사에서도 힌지 내구성에 신경을 많이 안 씁니다.

 

 

 

 

힌지가 부서져야 새 노트북을 사니까요.

 

사용자 잘못으로 책임을 돌릴 수 있기 때문에

 

제조사에서 굳이? 튼튼하게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노트북이 점점 슬림화되면서, 베젤이 얇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얇아진 베젤을 얻은 대신에, 힌지 보강 구조물이 들어갈 공간이 좁아지고,

 

결국에는 좁은 영역에 힘이 집중되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베젤이 넓었을 때는 위에 사진과 같은 길쭉한 부분이 힘을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접었다 폈다 할 때 기다란 부분으로 힘이 분산되는 구조입니다.

 

힌지 부분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켜서 힌지 주변부가 파손되는 일이 적었습니다.

 

 

 

하지만, 베젤이 얇아지면서

 

기다란 보강 구조물이 사라지고,

힌지 주변부에 가해지는 힘이 한곳에 집중되도록 설계가 되어버렸습니다.

 

결국에는 이렇게 되는 일이 흔해졌습니다.

 

힌지 가 부서지는것이 아니라.

힌지 주변부에 스트레스가 쌓여서 결국 주변부가 부서지는 일이 발생합니다.

 

항상 책상 위에만 올려놓고 잘 여닫지도 않는다면 상관없지만,

 

가방에 넣고 다닐 때나, 자주 여닫는다면 저렇게 되는 일을 피해 갈 수 없습니다.

 

 

 

 

 

 

금속 깎은 프레임에 힌지를 볼트로 직접 조이는 구조라면 좀 괜찮을 수 있으나,

 

요즘에는 접착제로 힌지 고정구조물을 붙이고 거기에 힌지를 볼트로 조이는 구조도 있어서

접착되어 있던 고정구조물이 떨어져서 파손되는 일도 있습니다.

 

 

 

 

 

 

 

360 회전하는 노트북은 힌지 주변부를 더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튼튼하게 만든 제품은 몇 없습니다........

 

접었다 폈다 돌렸다를 많이 하기 때문에 더 파손되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트북을 고를 때 수리 영상을 찾아보고,

 

분해된 사진을 보고,

 

수리 매뉴얼을 찾아보면 부품이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제조사여도 모델마다 힌지 설계가 틀리며,

 

비즈니스 노트북 제품군이 그나마 힌지 부분을 튼튼하게 만드는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얇은 베젤은 소비자한테는 결코 좋은 것이 아닙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