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8

[제품소개] USB테스터기

용도: 1. 충전이 잘 안될때 기기가 문제인지, 케이블이 문제인지, 충전기가 문제인지 측정값을 보면서 찾아낼 수 있습니다. 2. 고속충전이 잘 되는지, 얼마나 빠르게 충전하는지 어느 구간부터 충전이 느려지는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충전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USB테스터기 입니다 아래 링크 들어가서 1~2만원쯤 하는 제품도 꽤 쓸만합니다. usb 테스터 통합검색 : 다나와 통합검색 'usb 테스터'의 다나와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danawa.com chargerlab의 USB테스터입니다. 일반인이 구할 수 있는 최상급쯤 정도 됩니다. 이 제품 다음에는 전문측정장비로 넘어갑니다. 모델명: KM003C USB-C타입만 됩니다. USB-A타입이 되는 제품..

제품소개 2023.07.31

모니터 스펙확인: 색재현율

모니터에는 색 재현율이라는 스펙이 있습니다. 즉, 색을 얼마나 많이 표현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값입니다. 색 재현율이 낮은 패널을 쓰기 때문에 색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는 겁니다. 색재현율을 표시하는 기준은 NTSC, sRGB, DCI-P3 정도를 가장 많이 씁니다. NTSC 100%는 NTSC의 색공간을 100%다 표시할 수 있다는 거고, NTSC 72%는 NTSC의 색공간을 72% 정도 표시할 수 있다는 겁니다. 보통 NTSC 72%는 sRGB 100% 정도로 봅니다. sRGB 45%는 대부분 저가 패널이고, 따로 색재현율 언급이 없으면 45%인 경우가 많습니다. sRGB 100% 정도만 되어도 중상급 패널이고, 플래그쉽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패널은 DCI-P3 100%가 넘는 최상급입니다. ..

충전 안되는 이유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고장 순서대로 설명하겠습니다. 1. 케이블 고장 고속충전이 됐다가 안 됐다가 하고, 충전이 됐다가 안 됐다 하는 경우. 전원은 +선과 -선, 최소 총 2가닥이 필요합니다. 요즘은 충전기와 기기가 서로 통신을 해서 전압과 전류를 조절하므로, 통신선도 필요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속충전은 충전기와 통신이 필요하므로, 그렇기 때문에 최소 4가닥은 필요합니다. 충전 케이블 내부에 있는 4가닥 중에 통신선이 끊어지면, 충전기와 기기와 통신이 안되므로, 기본 5V저속충전을 하게 됩니다. 고속충전이 안되고, 저속충전만 된다면 케이블 고장일 가능성이 큽니다. 케이블 내부에 단선이 발생했다는 것이고, 내부 합선 우려가 있어서 케이블 교체를 해야 합니다. 충전자체가 됐다가 안됐다 하는 이유는 충..

좋은 USB메모리 고르는법

1. cd대체용 2. 일반용 3. 전문가용 4. 산업용 보통 이렇게 4가지 분류로 나뉩니다. 1.cd대체용 쓰기는 한 번만 하고, 읽기만 여러 번 하는 용도입니다.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된 제품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능과 내구성을 기대하시면 안 됩니다. 2. 일반용 가끔씩 작은 파일을 몇 개 옮기거나 할 때 씁니다. 보통 금속 재질로 되어있고, 보통 쓰기 속도가 25MB/s 근처로 나옵니다. 대용량 파일을 빠르게 옮기기는 무리입니다. 3. 전문가용 대용량 파일을 자주 옮기시거나, 자주 쓰기 때문에 내구성도 필요할 때 씁니다. 샌디스크 cz880 트래센드 jetflash 780 4. 산업용 성능보다는 내구성이 아주 중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용량도 적고 가격도 비싸서, 주변에서 ..

알아보자 2023.06.03

[구매전 확인 필수]USB메모리

USB메모리를 살 때는 쓰기 속도를 보자. 쓰기 속도가 안 나와 있는 제품은 느린 경우가 많다. 제품 상세설명을 보면, 읽기 속도는 나와있는데 쓰기 속도는 없는 제품이 많습니다. 쓰기 속도가 안 적혀 있다면 읽기 속도에 비해서 쓰기 속도가 매우 느린 제품이 많습니다 쓰기 속도가 쓰여있는 제품은 쓰여있는 속도와 대부분 비슷하게 나옵니다 쓰기 속도가 아주 느려도 상관없고, 한번 저장하고 읽기만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읽기 속도만 높은 저가 USB메모리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컨트롤러와 플래시메모리가 일체화된 COB타입 제품보다는 컨트롤러와 플래시메모리가 따로 붙어있는 구조로 된 제품이 냉각도 잘 되어서 고장도 덜나고, 대용량 전송중에도 속도가 잘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광고 1개만 눌러주시면..

노트북 힌지 보는법

노트북에서 은근 뜬금없이 고장 나는 부분이 바로 힌지(경첩) 부분입니다. 노트북 화면 부분을 열고 닫을 때, 각도를 변경할 때 힘을 많이 받습니다. 물론 제조사에서도 사용하는 동안 쉽게 고장 나지 않게 나름대로 설계를 했겠지만, 사용자가 분해해서 구조를 보기 전까지는 튼튼한지, 약한지 쉽게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튼튼하지 않은 제품이 은근히 있습니다. 1. 해당 노트북의 힌지 부품을 검색해서 찾아보는 겁니다. 2. 화면 교체하는 수리 영상을 보면 됩니다. 이렇게 보통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왜 힌지가 약하나? 힌지는 대부분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힌지 자체가 부러지는 일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힌지는 노트북 화면 부분과, 키보드 쪽 상판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노트북 화면을 열고 닫을 때, 이..

알아보자 2023.05.14

[아무도 안 알려주는]코딩용 노트북 고르는법

큰 화면 17인치 급에 2kg 넘거나 가까운 제품으로 무거워서 한 손으로 들고 다니기 힘든 만큼, 무겁기 때문에 두 손으로 들고 다니게 되기 때문에 , 떨어뜨려서 고장 나는 일도 적습니다. 큰 화면으로 문서나 인터넷 검색을 하기에 좋고, 장시간 보더라도 피로가 적습니다. 또한 자세가 구부정 해지는 것도 14인치 15인치 보다 훨씬 덜 합니다. cpu는 펜티엄이나 셀러론 급이 적당합니다. 램은 되도록이면 교체 가능한 제품을 고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코딩 배우기에는 그럭저럭 잘 돌아갑니다. 컴퓨터 성능이 부족해야 게임하기 힘듭니다. 또한 컴퓨터 성능이 부족함을 알게 되면, 주어진 노트북 외에 다른 컴퓨터가 없기 때문에 어떻게든 노트북을 써먹으려고 할 것입니다. 성능이 부족해서 게임이 안 돌아가므로 게임 차단..

알아보자 2023.05.01

리튬이온 배터리 관리법

20%까지 가기 전에 50% 이상으로 충전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20% 까지 쓰고나서 80%까지 충전하는 패턴은 0% 까지 쓰고나서 100%까지 충전하는 것보다는 더 좋긴 합니다. 20%~ 80% 사이에서 쓰는 게 좋다는 말이지, 20%까지 썼다가 20%가 되면 충전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충전할 수 있으면 충전을 해둬서 50% 이상 충전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에 가깝게 방전을 할수록 안 좋기 때문에, 바닥에 가까이 갈 일이 없도록 채워두면 됩니다. 100%를 오래 유지할수록,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80% 근처까지만 충전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부풀어 올랐다면,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을 중단하고,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보관법 대략 50~ ..

알아보자/IT 2023.04.19

노트북 갑자기 팬소음 이유

아무것도 안 켜놨는데 팬소음이 심하다면, 작업관리자를 켜서 cpu사용률을 보시길 바랍니다. 아무것도 안 켜놨는데, cpu사용률이 꽤 높을 겁니다. 원래는 아무것도 안 하면 cpu점유율이 5% 이하여야 정상입니다. 충전기를 연결하면, 윈도우 유지보수 프로그램들이 작동해서 업데이트도 하고, 바이러스 검사도 하게 되는데, 화면에는 안 떠서 아무것도 안 하는 것처럼 보일 겁니다. 또한 사용 중에는 조용하다가 10분간 아무것도 안 하고 있으면, 유휴상태라고 감지하게 되어서 각종 유지보수 프로그램이 작동합니다. 이때 갑자기 팬소음이 심하게 돌아갈 수 있는데, 유지보수 진행 중이어서 그렇거나,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악성코드나, 랜섬웨어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목록을 켜놓고, 화면 안 꺼지도록 설정하..

충전 케이블 아무거나 사지 마세요

결론: 정품 케이블 또는 정품급 케이블을 사용하자. 그냥 비싼 것이 아니고, 다 비싼 이유가 있다. 충전선이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충전선 끝부분에 있는 커넥터조차, 단가 차이가 납니다. 정품 케이블보다 비싸거나, 비슷한 정도의 케이블은 최소한 정품과 비슷한 정도의 품질이어서 괜찮습니다. 정품 케이블이 내구성이 가장 좋은 편은 아니지만, 품질은 최소한 중상급 정도 합니다. 1. 커넥터 부분 차이 특히 커넥터 쪽 손잡이 부분안쪽에는 커넥터를 단단하게 잡아주는 금속 구조물이 들어 있어서, 케이블 쪽 커넥터가 뽑혀 나오거나 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커넥터 핀에 금도금 처리가 되어있어서, 접촉 저항에 의한 발열도 낮고, 전력과 데이터 전송이 안정적입니다. 단자 내부 금속핀이 적당한 탄성을 ..

반응형